top of page
작성자 사진YANKEE TIMES

백악관,북한 김정은 러시아 푸틴 회담 주목 "무기 지원할 경우 대가 치룰것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은  5일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사용될 무기를 러시아에 제공할 경우 국제사회에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 북한의 대러시아 군사 지원에 관한 북·러 간의 논의가 활발히 진전되고 있는 것으로 지금 분석한다"고 말했다.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공급하지 않는다는 공개적 약속을 준수하고, 우크라이나 사람들을 죽이는 데 쓰일 무기를 러시아에 공급하지

말 것을 북한에 계속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러시아 무기 지원을 검토하는 북한의 의도에 대해 북한의 의도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마음 속에 있을 것"이라며 미국은 북한이 이런 대러 군사지원을 를함으로써 다른 나라들이 계속 같은 일을 하는 것을 막기 위해 북한이 무기를 지원하지 않도록 설득할 기회를 모색할 것"이라고 덧부쳤다 베단트 파텔 국무부 부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는 어떤 국가든 러시아의 불법적인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원하는 조치를 취할 경우 있을 수 있는 후과에 대해 매우 분명하게 밝혀왔다"면서 "우리는 역내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적절하게 조율하고 필요시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의 부당하고 불법적인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을 지원하는 단체에 대해 주저하지 않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욕타임스는 전날 미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이르면 다음 주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 무기 거래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왓슨 대변인은 지난달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부 장관이 북한이 러시아에 포탄을 판매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북한을 방문했다"며 우리는 김정은이 러시아에서의 정상급 외교 접촉을 포함해 이런 대화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한다는 정보가 있다"고 밝혔다.


뉴욕타임스가 김정은이 다음주에 러시아를 방문 푸틴을 만날것이라는 보도를 하자 국정원이 가능성을 두고 ㅔ의주시를 하고있다고 언론들이 보도를 이어가고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이르면 다음주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회담할 계획이라고 뉴욕타임스가 4일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포탄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러시아는 북한으로부터 무기를 지원받고, 북한은 그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위성과 핵추진잠수함 관련 기술을 전수받는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 이때문에 김 위원장의 방러는 동북아 정세에 격변을 몰고 올 주요 변수로 부상할 것이라는 추측이다


미·일 한 3각 공조 강화에 대한 북·중·러의 맞대응이 본격화하면서 동북아 신냉전 구도가 더욱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김정은 방탄 열차타고 러시아 향발


10~13일 김정은 푸틴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교 경제포럼 참석 뉴욕타임스는 북·러 정상은 이달 10~13일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교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방탄 열차를 타고 블라디보스토크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 김 위원장은 블라디보스토크의 러시아 태평양 함대사령부 33번 부두도 방문할 계획이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쪽으로 약 1500㎞ 떨어진 ‘보스토니치 우주기지’를 방문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난 8월 말 북한 지도부 경호 담당자들을 포함한 약 20명의 북한 대표단이 평양에서 기차를 타고 블라디보스토크로 간 뒤 모스크바까지 비행기로 이동했는데, 미국 정부는 이를 김 위원장의 방러 ‘사전답사’ 차원으로 보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러시아에 대한 포탄과 대전차미사일 지원에 합의할 것을 원하고 있고, 김 위원장은 러시아가 북한에 위성과 핵추진잠수함 관련 첨단 기술을 제공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러시아에 식량 지원도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30일에는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이 두 정상이 무기 거래를 위해 수차례 친서를 교환했다는 첩보까지 이례적으로 공개하며 북·러의 군사 공조 강화 움직임을 강하게 견제했다.


김 위원장의 방러 계획은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이 지난 7월 북한 ‘전승절’(정전협정 기념일) 계기 방북한 이후 논의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이 성사되면 북·러관계는 물론 동북아 정세 전반에 상당한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의 외국

방문은 2019년 4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푸틴 대통령과 회담한 것이 마지막이었다. 북한이 코로나19로 줄곧 폐쇄해온 국경을 최근 개방한 가운데,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과 첫 대면 정상외교에 나서는 셈이다. 특히 북·러 정상회담은 동북아에 짙게 드리운 신냉전 구도를 더욱 부추길 공산이 크다.



워싱턴=리치 타이거 특파원



Yankee Times DBA  Biden Times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