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작성자 사진YANKEE TIMES

스가 일본총리, 문재인 대통령 만나기 싫다

G7서도 문 대통령 눈인사 외면

꿈에라도 만날까 두려워 기피

도꾜 올림픽 때도 만나지 않을것





(도꾜= 도부로 마사이찌 특파원 ) 지난 11~13일 영국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한·일 정상간의 약식

회담이 불발된 것은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의 뜻에 따른 것 이었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문 대통령은 세 번 말을 걸었지만 스가가 피해버렸다고 일본언론들이 보도했다. 문대통령을 꿈에라도 만날까 기피하고 있다. 일본 한국 지도자의 앙숙관계는 좀처럼 풀리지 않을것으로 보고있으며 올림픽 때도 정상회담은 어려울 전망을 외신들이 진단하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앞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일본 스가와 함께 미한 회담때 만나자고 제의했다고 문의 반대로 성사되지 않았다. 아사히 신문은 22일 G7 회의에서 스가 총리와 문재인 대통령이 만남을 둘러싼 내막을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사전에 한국 측이 일본에 20~30분 정도의 약식 정상회담을 갖자고 제안했고, 일본도 "말을 걸어온다면 모른 척 할 수없다" 양측이 짧은 대화를 갖는 데는 '잠정 합의'했다지만 불발로 끝났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아사히에 "G7 바비큐 파티에서 등 총 3차례 문재인 대통령이 (스가 총리에게) 말을 걸었으며 이에 총리는 '매우 감사하다'고 응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후 스가 총리는 "실무자 쪽에서 조율하지 않으면 회담은 어렵다"며 깊은 대화는 피했다.


가토 가쓰노부(加藤勝信) 일본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에서 회담 불발에 대해 "일정이 맞지 않아서"라고 설명했다. 외무성 간부는 "모든 것은 총리의 판단이었다"고 말했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양국 모두 약식회담을 준비하고 있었음에도 스가 총리가 현장에서 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고 결정해 의도적으로 대화를 피했다는 것이다.


스가 총리는 귀국 후 주변에 "(G7) 정상회의에서 가장 경계한 것은 한국이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일본이 한국 정부에 위안부 문제 등의 해결책을 제시 하라고 촉구하고 있는 가운데, '빈손'으로 온 문 대통령과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경우 일본 내에서 여론의 비판을 받을 것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한일 정상이 만날 다음 기회는 7월 23일로 예정된 도쿄올림픽 개막식 이지만, 성사가 쉽지 않을 것으로 아사히는 전망했다. 일본 총리관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일본에 온다 해도 정상 간에 이야기를 나눌지는 별개의 문제"라며 회담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도 G7에서 일본의 대응을 봤을때 문 대통령의 올림픽 참석은 곤란하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yankeetimes NewyorkTV


usradiostar.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