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지난해 3.1% 보다 낮은 2.7% 수준 생산활동 줄고 인플레이션 심해질것
지난해 미국발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세계 경제가 출렁인 가운데, 새해에도 미국의 금리정책, 중국의 저성장, 엘니뇨에 따른 인플레이션 물가 상승등 위험 요인이 산재해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블룸버그이코노믹스(BE)는 2일 세계 경제 위험 요인에 대한 보고서를 통해 올해 성장이 둔화하고 인플레이션이 완화될 것으로 보지만, 이런 기본 시나리오보다 생산활동이 더 줄고 인플레이션이 심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2022년 초까지만 해도 0.25%였던 기준금리 상단을 공격적으로 인상, 지난해 7월 5.5%로 끌어올린 상태다. 한때 9.1%를 찍었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3.1%로 떨어졌지만, 지난해 3분기 GDP 성장률은 4.9%로 2021년 4분기 이후 가장 높았고 지난해 11월 실업률은 3.7%로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통화 긴축 선호적 동결' 입장을 유지하던 연준은 올해 0.75%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해 금융시장 랠리를 불러온 상태다. 시장에서는 이르면 3월 기준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으로다 보고 있올해 말 미국 CPI 상승률에 대한 시장 컨센서스는 2.4%이지만, 자체 모델로 분석한 결과 2.6%로 이보다 소폭 높게 전망됐다고 밝혔다. 내년 말 실업률이 4.0%를 넘길 가능성은 50%가량으로 추정됐다.
선진국들의 GDP 대피 부채 비율은 올해도 높은 수준에 머물고, 미국 등의 부채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이탈리아의 GDP 대비 부채 비율은 145%가량으로 예상됐다. 중국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5% 안팎'의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설정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재정적자 확대에 따른 부양 효과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올해 성장률 5%를 달성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중국 성장률이 4.5%에 그칠것으로 본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지난해 부양책의 효과가 시차를 두고 나타나는 것을 감안, 올해 분기별로 2천500억 위안(약 45조5천억원)씩 추가 지출할 경우 올해 2∼3분기에 성장률이 5% 위로 올라갈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의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우려와 관련, 물가가 상승하겠지만 1년 내내 상승률 2.5%를 밑돌 것으로 추정하기도 했다.
극심한 경제난 속에 취임한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이 통화가치 절하 등 각종 경제개혁을 밀어붙이고 있는 아르헨티나의 경우 '하이퍼 인플레이션'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아르헨티나는 이미 연간 130∼140%대에 이르는 물가 상승률과 40%대 실업률을 기록 중이다. 향후 경제 상황에 대해 1만건의 시뮬레이션을 돌린 결과 절반은 11월에 물가 상승률이 400%(전년 동기 대비)로 고점을 찍는 것으로 나왔다는 게 보고서 설명이다.
또 시뮬레이션 20번당 1번 정도는 12월까지 물가 상승률이 1천%를 넘기는 것으로 나왔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올해 상반기 강력한 엘니뇨(해수 온난화 현상)가 이어지면서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망 혼란을 초래, '스테그플레이션'(고물가 속 경기둔화)을 부추길 수 있다고 봤다. 미국과 유럽 지역은 엘니뇨를 비롯한 기후 요인으로 물가가 0.2%포인트 정도 오르고, 개발도상국들은 피해가 더 커 인도·필리핀은 0.5%포인트, 아르헨티나·브라질은 0.75%포인트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이다.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