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 2개월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아
무역적자 물가폭등 가로놓여 대책 실종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41년 만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연방준비제도(Fed)가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밟을 것이 확실시되자 달러 선호가 강해지고 있다. 한국은 윤석렬 정권의 인기가 끝없이 추락하는 가운데 원 달러 환률도 덩달아 추락 경제앞날이 어둡기 그지없다 원·달러 환율이 13년2개월여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으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환율이 오르면 수입가격이 상승하기 때문에 가뜩이나 불안한 인플레이션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우려된다. 16일 금융·외환시장에 따르면 미국의 통화 긴축 가속화로 달러화 가치가 치솟으면서 원화를 비롯한 주요국 통화 절하폭이 커지고 있다. 전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18원에 거래를 시작해 장중 1326.7원까지 올랐다가 1326.1원에 장을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2009년 4월29일(1340.7원) 이후 13년2개월여 만에 최고 수준이다. 외환당국은 원화 가치를 방어하기 위해 외환보유액을 풀어 변동성을 줄이고 있지만 이 역시 오래 지속하긴 힘들다. 한국 외환보유액은 6월말 기준 4382억8000만달러로 전월말 대비 94억3000만달러 줄었다. 이는 2020년 11월 이후 1년7개월 만에 최저치다. 강달러에 다른 통화로 구성된 외화자산 평가액이 줄어든 데다, 원화 가치 방어를 위해 막대한 외환보유액을 사용하면서 감소폭이 확대됐다. 한은은 "한국경제 상황 등을 고려했을 때 현재 외환보유액은 대외 충격에 대응하는데 부족하지 않은 수준"이란 입장이지만 전문가들은 경상수지 흑자폭이 크게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안심하긴 힘들다고 지적했다. 추후 세계 경제가 침체되면서 반도체 수출 등이 타격을 입으면 외환보유액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한국은 외국인 주식 투자 비중이 높고 안보 위험도 커 충분한 외환보유액이 중요하다. 원·달러 환율이 치솟는 것은 달러 대비 원화의 가치가 가파르게 추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대를 기록하고 한미 금리역전에 따른 자금유출 우려도 커지자 지난 13일 사상 처음으로 빅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단행했지만 역부족인 분위기다. 국제유가와 각종 원자재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는 가운데 환율 상승까지 겹치게 되면 인플레이션이 심화돼 서민경제가 더욱 힘들어질 수밖에 없다.
재임스 한 특파원
양키타임스 양키뱅커
ibn usradiostar.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