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윤석렬의 2023년 빨간불 국민절반 이상이 불신 대북 강경정책 우려

  • 작성자 사진: YANKEE TIMES
    YANKEE TIMES
  • 2023년 1월 1일
  • 2분 분량


정당간·유권자간 대립 심화” 김건희 리스크 떨지 않으면 국민 폭발 칼휘두르고 겁박하는 검사 정치 극도로 불쾌 윤석열 정부가 출범 2년차에 접어든 가운데, 국민의 절반은 한국 사회가 통합으로 나아가기보다는 정당 간, 유권자 간 분열과 대립이 심화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비판적인 언론 한갸레가 새해 아침 진단했다 이런론은 윤정권을 옹호하고 감사고 맛사지 하는 보수 종이신문과는 정반대되는 오로지 비판적인 기사와 논평을 지키고있다 국민들은 이러한 대립·갈등의 책임 소재로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을 지목했다. 민주주의 등 여러 측면에서 한국 사회가 부정적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응답도 절반을 훌쩍 넘기며 미래 전망에 경고등을 켰다. <한겨레>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2월26~27일 전국 성인 남녀 1015명을 전화면접 방식으로 조사한 결과다. 이번 조사에서 “여당과 야당 등 정당 간 대립·갈등은 과거와 비교해서 어떠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50.5%가 “늘었다”, 12.5% “줄었다”고 답했다. “비슷하다”는 응답은 34.6%였다. “각 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 간 대립·갈등은 과거와 비교해서 어떠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도 “늘었다”는 대답이 51.0%였다. “줄었다”와 “비슷하다”는 응답은 각각 12.6%, 33.8%다. 국회 선진화법 시행(2014년) 이후 ‘최장 지각 예산안 처리’라는 오명을 쓰는 등 여야 대립이 격화한 상황에서 양쪽 지지층 또한 그만큼 상대에 대한 불신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당 간 대립·갈등이 더 심해졌다고 답한 이들에게 주요 정치 행위자들 가운데 누구 책임이 큰지 물어보니, 대통령과 민주당이 각각 38.4%, 34.7%로 오차 범위 안에서 수위에 꼽혔다. 이어 국민의힘 15.6%, 정의당은 0.6%였다. 특히 “역대 대통령들과 비교할 때 윤석열 대통령은 통합의 리더십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55.2%가 “그렇지 않다”고 대답했다. “그렇다”는 25.8%였고, 17.4%는 “비슷하다”고 대답했다. 지난 대선 때 투표한 인물을 지금도 지지한다는 응답 또한 윤석열 77.8%, 이재명(민주당 대표) 74.8%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3·9 대선이 끝난 지 9개월이 지났지만 0.73%포인트 차이라는 박빙 승부를 펼치며 양분됐던 구도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2024년 4월 총선에서 “야당 후보를 지지하겠다”(45.7%)는 응답과 “여당 후보를 지지하겠다”(44.1%)는 응답이 오차 범위 안에서 팽팽하게 맞선 것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갈라진 한국 사회 속에서 국민들의 미래 전망도 밝지 않다. “민주주의 등 여러 측면을 고려할 때, 우리 사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좋지 않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응답이 58.3%로, “좋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39.7%)보다 높게 나왔다. 제임스 한큐 특파원 YankeeTimes BidenTimes usradiostar.com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