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와 <중앙일보> 등 보수매체가 13일 '분당'을 예고하는듯한 국민의힘 극한 내홍과 관련, 김건희 여사를 진앙으로 지목하며 "불길하고 또 불길하다" "황당한 자해극" "수준 낮은 자멸극" 등의 표현까지 사용하며 강도높은 비판을 가하고 나섰다.
<한국갤럽> 조사에서는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 50대이하 연령층에서 '10%대'로 추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용산의 마지막 권력욕이 탄핵적 위기를 자초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보수진영의 극한적 위기감을 감지할 수 있는 대목이다.
박정훈 <조선일보> 논설실장은 이날자 칼럼 <김 여사의 그림자>를 통해 "‘김건희 여사 문제’는 늘 예기치 않은 곳에서 튀어나와 끊임없이 국민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며, 김 여사의 명품백 수수를 감싼 권익위에 대해 "권익위가 김 여사 사건을 방어하려다 부패의 ‘배우자 루트’를 열어 주었다는 소리가 무성하다. 대통령은 모든 국정의 총괄자인데 대통령 직무와 관련 없는 게 어디 있냐는 비판도 나온다. 김 여사 문제가 반부패 정책의 기조마저 흔든 것"이라고 질타했다.
이어 "집권당 대표 선거에도 ‘김 여사 문제’가 등장했다. 난데없는 ‘읽씹’ 논란으로 난장판이 벌어졌지만, 배신이냐 아니냐보다 더 충격적으로 느껴진 것이 있었다. 우리가 모르는 물밑에서 김 여사의 독자적 소통 채널이 가동되고 있었다는 사실"이라며 "김 여사가 공개 사과할 의사가 있었다면 대통령실 정무 라인과 상의해야 마땅했다. 대통령실을 통해 사과 방식과 절차를 정해 실행하면 될 문제지, 한 전 위원장 동의를 구할 이유가 없었다. 사적으로 동의를 구해서도 안 됐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문자를 보내고 이틀 뒤 윤석열 대통령은 비서실장을 통해 한 전 위원장이 물러날 것을 요구했다. 선거판을 뒤집은 사퇴 파동에 김 여사도 발을 들이밀고 있었던 것"이라며 "지금도 그렇다. 여당 대표 선거를 둘러싼 이전투구에 김 여사가 당사자로 참전한 셈이 됐다. 대통령 부인이 정치 게임의 플레이어가 되어 논란의 한복판에 선 모양새"라며 문자 파동의 배후로 김 여사를 지목했다.
그는 "시중엔 모 비서관이 김 여사 측근이고, 모 기관장이 김 여사 라인이라는 식의 소문이 파다하다. 용산발(發) 뉴스 중 이해되지 않는 것은 다 김 여사가 개입했다는 말도 나온다"며 "근거 없는 낭설이라 믿고 싶지만 김 여사의 부적절한 처신이 의혹을 증폭시키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크고 작은 스캔들이 잇따르면서 국정 곳곳에 김 여사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는 인상이 굳어졌다. 불길하고 또 불길하다"고 개탄했다.
김정하 <중앙일보>도 이날자 칼럼 <자해극이 되고 만 영부인 문자 공개>를 통해 '김건희 문자' 유출의 배후와 관련, "김 여사 문자는 친윤 진영에서 언론에 흘렸을 것으로 보는 게 상식적 추론"이라며 "단정할 순 없으나 만약 그게 사실이라면 문자 공개 아이디어를 낸 인사는 엄청난 실수를 저지른 것이다. 문자 공개의 후폭풍이 고스란히 김 여사에게 되돌아온다는 것은 예상도 못 하고 오직 한 후보를 잡겠다는 정략에만 매달리다 황당한 자해극을 벌였다고 할 수 있다"며 김 여사를 궁지로 몰아넣은 친윤을 힐난했다.
이어 "아마 문자 유출자는 내용을 공개해서 한 후보의 비정(非情)과 정무감각 부족을 부각하려는 의도였을 것이다. 아닌 게 아니라 영부인이 ‘동지’라고까지 불러주는데 끝까지 ‘읽씹’한 한 후보에게 인간적인 느낌을 받긴 어렵다"면서도 "하지만 문자를 본 국민은 한 후보의 품성은 나중 문제고, 왜 영부인이 국민에게 해야 할 사과를 한 후보에게 했느냐는 것을 문제 삼는다"며 김 여사에 대한 국민 비판여론이 더욱 비등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는 "김 여사와 대통령실은 지금 소를 잃고도 외양간을 안 고친 대가를 혹독히 치르고 있다. 최근엔 정치평론가 진중권씨가 김 여사와의 통화 내용을 공개해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다"며 "앞으로 김 여사 관련 녹취록이나 문자가 더 안 나온다는 보장도 없다"고 힐난했다.
그러면서 "일각에선 영부인 일정을 관리하는 제2부속실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물론 타당한 대책이다. 하지만 그에 앞서 김 여사 본인이 왜 자꾸 녹취록ㆍ문자 소동이 일어나는지 깊이 성찰하지 않으면 제2부속실도 큰 효과는 없을 것 같다"며 김 여사의 맹성을 촉구했다.
<동아일보>는 이날 사설을 통해 국민의힘 대표 경선에 대해 "당 안팎에선 ‘분당(分黨)대회’를 보는 것 같다는 탄식이 나오고 있다"며 "용산 권력은 어떻게든 여당에 대한 장악력을 놓치지 않으려 하고 있어 전대 상황은 더욱 복잡하게 돌아가고 있다"며 용산을 배후로 지목했다.
이어 "반면 거대 야당은 탄핵의 공론화까지 시도하는 상황"이라며 "보수의 재건이나 혁신은커녕 수준 낮은 자멸극을 펼치고 있는 집권 여당에 혀를 끌끌 차는 이들이 점점 늘고 있다"며 국민의힘이 자멸적 위기에 직면했음을 경고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