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작성자 사진YANKEE TIMES

한국은 엄청 잘사는 나라

지난해 국민1인당 소득 3만1천755달러

4분기 성장률, 속보치보다 0.1%p 높은 1.2%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침체와 원화 절하 원달러 경제 침체와 원화 절하 환율 상승 속에서도 지난해 한국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1천달러를 유지하여 밤낮을 가지리 않는 여야 정치싸움이 무색하다는 지적을 받고있다.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속보치보다 0.1%포인트(p) 높아졌지만, 연간 성장률(-1.0%)에는 변화가 없었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20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1천755달러(작년 연평균 환율 기준 3천747만3천원)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3만2천115달러)보다 -1.1%줄어든 것이다. 2017년(3만1천734달러) 처음으로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에 들어선 뒤 2018년(3만3천564달러)과 2019년(3만2천115달러), 2020년(3만1천755달러)까지 4년째 3만달러를 웃돌고 있다.


하지만 2019년 전반적으로 낮은 물가(GDP 디플레이터)와 원화 절상의 영향으로 2009년 이후 가장 큰 폭(4.3%)으로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코로나19 타격과 원화 절상으로 1.1% 줄면서 2년 연속 뒷걸음쳤다.이같은 현상은 셰게적인 코로나 팬데믹 때문이다.


지난해 연간 실질 GDP 성장률 잠정치는 지난 1월 공개된 속보치와 같은 -1.0%로 집계됐지만 4분기 성장률(전분기대비)은 1.1%에서 1.2%로 높아졌다. 4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수출이 반도체·화학제품 중심으로 5.4% 증가했다. 속보치(5.2%)보다 0.2%포인트 더 높은 성장률이다.


민간소비는 서비스(음식숙박·운수)와 재화(음식료품 등) 소비가 모두 위축돼 전체적으로 1.5% 감소했지만,역시속보치(-1.7%)보다는 상향조정됐다. 지난해 명목 GDP는 1천924조5천억원으로 전년보다 0.3% 늘었다. 원/달러 환율이 연평균 1.2% 오른 탓에 미국 달러화 기준(1조6천308억달러)으로는 0.9% 감소했다.


라디오조선TV 국제방송


YankeetimesTV & Radio


www.usradiostar.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