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ANKEE TIMES
한국 광고예산 종이신문에 집중 배분
인터넷 언론에 광고 배분해야 바람직
미국민 80% 인터넷 뉴스와 각종정보 접속

한국은 정보통신(IT) 분야의 선진국이다. 정보통신 선진국이라는 말은 인터넷 강국이라는 말과 통한다. 그러나 인터넷 강국에서 인터넷 언론들은 빈사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기존의 광고시장이 종이신문 기준으로 포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영국 독일등 언론계는 종이신문은 옛날 아나로그 시스템으로 인터넷 멀치플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인터넷 언론에 밀려 맥을 못추리고 있다 종이신문 발행부수는 종전의 절반에 미치지 못해 폐업 위기에 봉착 했으며 경영부실로 관련 기자등 종업원들이 전업을 하고있다 미국민들 80% 이상은 뉴스등 각종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시청하고있다
인터넷 미디어가 최첨단으로 자리를 메김하는데도 유일하게 종이신문이 아직도 설치고있다 한국에서는 최근 광고 시장의 개방이 입법부 국회와 행정부의 문체부 주관에 의해 시도 됐었다.
열린민주당 김의겸 의원은 7월9일 페이스북에 실린 글에서 '오늘 문체부가 ABC협회의 신문부수공사자료의 정책 활용 중단을 선언했다. 사실상 ABC협회에 사망선고를 내린 것이다. 김 의원은 '국회의원직을 승계한 직후 ABC협회 부수조작 문제를 언론개혁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삼고 대안 마련에도 주력했다. 국격(國格)손상이자 부끄러운 일이었던 신문부수조작, 자원낭비, 계란판 신문, 포장지 신문...이제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진다.'고 전망된다
김의겸은 의원은 “유료부수가 100만부가 넘는다는 A일보의 거짓말도 이제 소용없어졌다”며, “거짓부수를 근거로 배분된 정부광고비도 이제 새로운 기준으로 새롭게 집행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ABC협회 특히 열독률, 구독률을 기준으로 하겠다는 것은 여전히 조중동 중심으로 광고비를 집행할 또 다른 근거를 만드는 것이다라고 김의원은 지적했다. 그는 신문법 개정안대로 신뢰도와 정부광고 효과 등의 지표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며, “또 신문뿐만 아니라 방송과 인터넷에 대한 기준도 함께 만들어 1조원이 넘는 정부광고비가 효과적이고 합리적으로 집행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지출하는 광고비가 일부 오프라인(종이신문) 매체에만 흘러들어가는 시대는 끝난 셈이다. 그렇다면, 인터넷 강국에서 인터넷 매체로 광고비가 흘러 들어와야 한다는 것은 시대의 요청이다.
yankeetimes chosun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