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작성자 사진YANKEE TIMES

해리스, 몽둥이로 바가지 물가단속 공약 사회주의 하자는 거냐? 역풍



민주당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경제 공약 중 식료품 대기업들의 과도한 가격 책정(이하 바가지)을 법으로 단속하겠다는 약속이 뜨거운 논쟁을 부르고 있다.

해리스 부통령은 지난 16일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경제 공약을 밝히면서 "식료품 바가지 가격을 연방 차원에서 금지할 것"이라면서 "대기업이 소비자들을 불공정하게 착취해 폭리를 취할 경우 새로운 규제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규정을 어기는 기업들을 수사해 처벌할 권한을 연방거래위원회(FTC)와 주(州) 법무장관에 부여하겠다고 했다.

시장경제의 최선봉에 선 미국에서 가격 책정에 정부가 '몽둥이'를 들고 개입할 것임을 시사한 데 대해 '사회주의적'이라고 공격하고 나선 경쟁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반응은 차치하더라도 중도·진보 성향 언론들까지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것이다. 워싱턴포스트(WP) 논설위원실은 16일 "실질적 계획 발표 대신 포퓰리스트 꼼수로 시간을 허비했다"고 해리스의 경제 공약을 총평한 뒤 바가지 단죄 공약에 대해 "많은 비평가는 1970년대 리처드 닉슨 당시 대통령의 실패한 가격통제를 거론한다"고 비판했다.

그 문제를 다루는 하나의 길은 유권자들에게 2021년 인플레이션이 주로 팬데믹이 공급망을 경색시켰기 때문이며, 바이든-해리스 행정부가 지지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은 그것을 완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라고 솔직히 말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WP는 이어 "해리스 부통령은 '대기업 비난'이라는 덜 솔직한 길을 택했다"며 "그녀는 모호하게 정의된 '바가지 가격에 대한 연방 차원의 금지'를 FTC가 집행하게 함으로써 식료품 마트, 부동산회사, 제약회사와 그외 '기업 가해자'들의 '바가지'를 단속하겠다고 맹세했다"고 꼬집었다.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공급망 위기가 인플레이션의 보다 더 근본적인 원인으로 보이는 상황에서 해리스 부통령이 기준이 모호한 '바가지'를 단속하겠다고 나선 것은 대증적 처방이라는 진단이었다. CNN방송도 문제를 해소하기보다는 문제를 더 만들 것이라는 게 일부 경제학자들의 견해라고 보도했다. 코로나19 확산 때 도입된 '바가지 금지 법률'들을 연구했던 개빈 로버츠 웨버 주립대(오리건주) 학과장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바가지 금지법 시행 후 관찰 결과 소비자들이 해당 법 덕분에 절약하게 된 액수만큼 저축하기보다는 더 많이 사는 쪽을 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로버츠 학과장은 "물건값이 높을 때 대부분의 경우 최고의 정책은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는 것"이라며 내버려 두면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비싼 물건값을 기꺼이 지불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대체재를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또한 로버츠는 해리스식 '바가지 처단'이 실제 이뤄지면 바가지 가격과 적정 가격 간의 '큰 차이'를 활용해 시장에 진입하려 하는 업자들에게 결과적으로 '진입장벽'을 만들게 된다고 지적했다.

오바마 행정부 경제팀의 수장이었던 제이슨 퍼맨 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은 해리스 부통령의 바가지 엄단 정책이 의도치 않게 소비자들에 피해를 준다는 견해에 동의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려 깊은 정책이 아니다"며 "수사로 끝나고 현실화하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반면 일부 진보 성향 싱크탱크와 민주당 요인 등은 해리스 부통령의 '바가지 처단' 공약을 환영 또는 옹호했다. 진보 성향 싱크탱크인 '그라운드워크 콜라보레이티브'의 린제이 오웬스 집행이사는 "바가지 단속 법률이 상품 부족을 초래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것은 FTC와 같은 정부 기관들에 더 많은 권한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민주당의 연방 하원 원내대표인 하킴 제프리스 의원은 "가격 바가지는 일부 불량 행위자들이 자행하고 있다"며 "그것을 막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양키타임스 유에스라디오스타 

Kommentare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