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00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주택시장에 큰 타격이 되고 있다고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이는 인플레이션과 물가 상승과 높은 기준 금리가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수 있다는 투자자의 우려로 채권수익률이 급등한 데 뒤 따른 것이다.
21일 부동산 전문매체인 '모기지 뉴스 데일리'에 따르면 30년 고정금리 모기지의 평균 금리는 2000년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인 7.48%를 기록했다. 지난 한 주 동안에만 29 베이시스 포인트(0.29% 포인트, 1bp=0.01% 포인트)나 올랐다.
이 같은 고금리는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주택가격이 크게 오른 상황에서 주택 매수 희망자들의 구매 의욕을 떨어뜨리고 있다.
팬데믹이 시작된 시점부터 지난해 여름까지 주택구매 열풍이 일면서 주택가격이 40%나 올랐다. 주택가격은 지난해 말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강한 수요와 공급 부족으로 최근 다시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 현재 주택 소유자 대다수가 적용받는 모기지 금리가 3%를 밑돌고 있어 매물을 시장에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들이 다른 주택으로 갈아타게 되면 모기지 이자율이 두배 이상 높아지기 때문으로, 엄두를 못낸다
주택 구매자 입장에서도 1년 전만 해도 30년 고정금리 모기지의 평균 이자율이 5.5%였던 점을 감안하면 도저히 주택구매에 나설 수 없는 상황이다. 주택 건설업자들은 주택 판매를 위해 모기지 이자 일부를 부담하거나 주택가격을 낮추는 인센티브를 통해 높은 금리의 모기지 부담을 낮춰주기 위해 애를 쓰고는 있지만 시장 심리는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다고 CNBC는 전했다. 주택 개발업자들은 주택신축을 극도로 꺼리고 있으며 주택 보급이 어려움에 봉착 하는 상황이다
양키타임스 뉴욕티비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