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금융의 중심지이자 자본주의의 심장인 미국 뉴욕 시장에 민주사회주의자를 자처하는 조란 맘다니(34)가 당선되면서 월가가 긴장하고 있다.빈부격차가 늘어나면서 못가진 자는 가진 자를 저주하고 있다. 월가의 부유층들은 맘다니 당선을 막기 위해 정치자금 모금단체까지 만들어 상대 후보 띄우기에 나섰지만 결국 실패했다. 이제 맘다니의 급진적인 공약이 현실화하는 것을 견뎌내야 하는 처지가 됐다. 임대업은 정치의 규제로 올려받지 못하고 담다니가 정하는대로 받아야 한다. 사유재산권은 사회주의자의 통재에 맥을 추릴 수 없다.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4일(현지시간) 맘다니의 승리가 확실해지자 뉴욕 상류층에 패배감이 팽배했다고 전했다. 월가 주요 인사들이 맘다니에 반감을 가진 것은 그가 무슬림 출신인 데다 선거 공약들도 대부분 급진적인 색채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맘다니는 시가 관리 권한을 가진 '임대료 안정화 아파트'의 임대료를 동결하고 최저임금을 인상하는 한편 무상버스와 무상보육을 확대하겠다고 공약했다. 공약 실현을 위한 재원은 부유층 증세를 통해 마련하겠다고도 했다.
억만장자 투자자인 빌 애크먼 퍼싱스퀘어 캐피털 회장 등은 담다니를 낙서시키려고 상대 후보를 지원하는데 수백만달러를 쏟아부었고, 자산관리회사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와 헤지펀드 '시타델' 등은 직원들에게 투표를 독려하기도 했다. 하지만 빈부격차와 생활고에 시달려오던 청년층 표심을 파고든 맘다니의 승기를 박지 못했다.
AQR 자산운용의 공동 창업자인 클리프 애즈니스는 엑스(X·옛 트위터)에 영화 '혹성탈출'에서 주인공이 해변에서 자유의 여신상 잔해를 발견하고 지구가 파괴됐음을 깨닫는 장면의 사진을 올리며 맘다니 시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프로페셔널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창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앤서니 폼플리아노는 "세계 금융 중심지의 시장으로 사회주의자가 당선된 것은 미친 짓"이라고 했다. 맘다니의 임대료 동결 공약에 격렬히 반대해온 부동산 개발업자와 건물주 등도 침울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