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빙 주한중국대사가 13일 한미 간 원자력추진잠수함(핵잠수함) 건조 협력에 공개 경고장을 날렸다. 한화오션 자회사에 제재 조치를 했다가 해제한 일에 대해 언급하며 '교훈'을 얻으라는 표현까지 했다.
다이빙(戴兵) 대사는 한국의 핵잠수 도입 문제에 대해 "한중 양측은 외교 경로를 통해 소통하고 있고, 그 과정에서 중국은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한미 핵잠수함 협력은 단순한 상업적 협력의 차원을 넘어 국제 핵 비확산 체제와 한반도 역내 평화와 안정과 직결되는 사안"이라며 "한국 측도 관련국의 우려를 충분히 고려해 이 문제를 신중히 처리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에 진전되는 한미동맹 현대화가 대만 문제와 연계되면 안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각국 수교 문서에 '세계에는 오직 하나의 중국만 있으며 대만은 중국의 일부'라고 명시돼 있다. 한미동맹도 결코 대만 문제에 있어 불장난하지 않길 바란다"며 "한미동맹의 전략적 목적에 변화가 생긴다면 한미동맹을 바라보는 중국 측 시각도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다이빙 대사는 한미 조선 협력(MASGA) 프로젝트의 일환인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에 대한 제재 조치가 미중 무역협상 타결로 1년 유예 조치로 바뀐 데 대해 "한국 측이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고 교훈을 얻어야 할 문제"라며 "중미 관계 본질은 미국 측이 중국의 발전을 탄압하려고 시도하는 것이며 중국의 이익을 침해하는 어떠한 행위에 중국은 가만두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이빙 대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도 한국 정부를 향해 국내 반중시위에 조치를 취해줄 것을 요구했다. 그는 "현재 중한관계 개선세는 쉽게 얻어진 것이 아니며 소중히 여겨야 한다"면서 "한국의 일부 세력이 중한 관계 개선을 바라지 않으며 혐중감정을 부추기고 반중 시위를 조장한다. 이들은 중국 카드를 이용해 정치적 이익을 노리는 것인데 결국 피해 보는 것은 한국의 이미지와 이익"이라고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