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세계 2위 경제 대국 어쩌다 이렇게 6위로 추락

  • 작성자 사진: YANKEE TIMES
    YANKEE TIMES
  • 10월 15일
  • 1분 분량
ree
세계 2위 경제 대국 일본이 2030년에는 국내총생산(GDP) 기준 경제 규모가 6위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요미우리신문이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를 인용해 16일 보도했다. 일본은 고도 성장기였던 1968년 당시 경제 주요 지표였던 국민총생산(GNP)을 기준으로 했을 때 서독을 제치고 세계 2위 경제 대국이 됐다. 이후 일본의 명목 GDP 순위는 2022년까지 미국·중국에 이어 3위였으나, 2023년 독일에 추월당해 4위로 내려앉았다.

IMF 추계에 따르면 일본은 내년 인도에도 밀려 5위가 되고, 2030년에는 영국에도 역전당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명목 GDP는 2026년 4조4천636억 달러(약 6천330조원), 2030년 5조1천198억 달러(약 7천261조원)로 예측됐다. 인도의 내년 GDP는 4조5천56억 달러(약 6천389조원), 영국의 2030년 GDP는 5조1천997억 달러(약 7천375조원)로 각각 전망됐다. 일본 경제 규모가 조만간 인구 대국인 인도보다 작아질 것이라는 관측은 이전에도 있었지만, 영국에도 추월당하는 시기가 구체적으로 언급된 보도는 거의 없었다.
요미우리는 "인도의 실질 GDP 성장률은 2026년 이후 6%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며 "2029년에는 독일을 제치고 세계 3위로 부상할 것"이라고 전했다.

영국은 인구가 약 6천900만 명으로 일본의 절반 정도이지만, 이민자 유입으로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2026년 이후 영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1.3∼1.5%로 일본의 0.5∼0.6%를 웃돌 것"이라고 덧붙였다. 요미우리는 엔화 약세 흐름도 일본 경제의 위상 추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엔/달러 환율은 2022년 초에 120엔을 밑돌았으나 이날은 150엔대였다. 일본 금융업계 관계자는 "일본은 코로나19 이후 엔화 약세가 진행돼 GDP를 달러로 환산하면 상대적으로 30% 정도 감소했다"며 "실물경제도 다른 나라와 비교해 약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Yankeetimes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