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들어 아예 없던 말을 지어내는 모습이 포착되며 치매 징조가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됐다.2008년 존 매케인 공화당 대선후보 경선 캠프에서 활동했던 크리스 트루악스 변호사의 악의적인 주장을 1일 미국의 정치전문 매체 더힐을 인용하여 한국 조선일보가 보도했다 트럼프의 정신적 쇠퇴는 부인할 수 없다. 이제 어떻게 해야 할까’라는 제목의 기고문을 게재했다라고 악랄하게.지면을 크게 장식했다
트루악스는 “트럼프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사람들을 속이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다. 심지어 그의 지지자들도 이를 인정한다”며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고 했다.
트루악스는 트럼프의 최근 언행을 작화증(Confabulation)이라고 주장했다. 작화증은 기억을 잃은 사람이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이야기를 꾸며내는 증상이다. 본인이 경험한 일이 아닌 일들을 마치 자신이 겪은 것처럼 말하는데, 본인 역시 현실과 허구를 구분하지 못한다. 트루악스는 “노인들에게 나타나는 작화증은 치매의 가장 명확한 초기 증상 중 하나”라며 지난달 15일 트럼프의 연설을 그 예로 들었다.
당시 트럼프는 자신의 삼촌이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핵, 화학, 수학 등 3개 학위를 받았다고 소개했다. 또한 ‘유나바머’로 알려진 테러범 테드 카진스키를 가르쳤던 일화를 자신에게 들려줬다고 했다. 트럼프의 삼촌이 MIT 교수로 재직한 것은 맞지만, 전기공학과 물리학을 전공했다. 또한 카진스키는 MIT가 아닌 하버드에 다녔다. 무엇보다 트럼프의 삼촌은 카진스키의 정체가 드러나기 11년 전 사망했다. 카진스키 일화를 트럼프에게 들려줄 수 없었던 것이다.
트루악스는 또한 “수학적 개념에 대한 어려움은 치매의 초기 신호 중 하나”라며 트럼프가 약값을 1000% 낮추겠다고 말한 것을 지적했다. 트루악스는 “약품 가격은 100% 감소하면 무료가 된다”며 “경영학을 전공하고 평생 기업을 운영해온 사람이 퍼센트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모를 리 없다”고 했다. 또한, 미성년자 성매매 혐의로 체포되자 스스로 목숨을 끊은 억만장자 제프리 엡스타인 사건을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조작했다고 주장하는 것도 트럼프의 치매 증상이라고 했다. 엡스타인이 2019년 체포될 때 오바마는 이미 퇴임한 지 오래됐다며 트루악스는 “과거 사건이 언제 발생했는지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는 것은 작화증의 일반적인 특징”이라고 했다.
트루악스는 “이 상황을 치매로 규정하는 것이 불편할 수도 있다”며 “하지만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와 관련된 중대 결정을 내려야 하는 대통령이 수학적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고, 현실과 무관한 생생한 ‘기억’을 갖고 있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했다. 이어 “트럼프의 이웃, 가족 또는 친구라면 트럼프가 치매를 앓고 있다는 걸 알아차리는 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며 “대통령이라고 해서 눈을 감으면 안 된다”고 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