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15일 총리에 취임하는 강경 보수 성향인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집권 자민당 총재는 현재 일한간에 불씨가 되고있는 다께시마 (독도)를 되찾기위해 독도에 일본영토를 표기하는 문제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독도는 한국이 점령하고있어 표시 설치가 본격화 되면 한일간 분쟁이 격화될것으로 보인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다카이치 총재에 대해 "과거 주변국에 강경한 발언을 거듭했다"며 "일본 정부 역사 인식을 '자학사관' 등으로 비판하며 보수층 지지를 얻어 왔다"고 7일 보도했다. 다카이치 총재는 특히 1990∼2000년대에 일본 정부 역사 인식, 태평양전쟁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신사 참배,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독도 문제와 관련해 '매파' 성향의 발언을 쏟아냈다.
그는 1995년 담화를 통해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침략에 대한 반성과 사죄의 뜻을 표명한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총리에 대해 "멋대로 대표해서 사과하면 곤란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중의원(하원) 선거에서 낙선해 잠시 국회를 떠났던 2005년에도 잡지에 무라야마 담화 문제점을 지적하는 글을 기고했다. 그는 이 글에서 "이렇게 분별없는 견해를 그대로 방치한다면 자손을 '범죄국가의 국민'으로 계속 묶어두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카이치 총재는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가 2001년 8월 13일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하자 2002년 또 다른 잡지에 쓴 글에서 "당당히 (종전일인 8월) 15일에 참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는 이러한 주장의 이유에 대해 "(다른 나라를) 배려할 수밖에 없는 꺼림칙한 장소라는 이미지를 줄 수 있다"고 항변했다. 다카이치 총재는 2006년 자신의 홈페이지에 독도 문제에 관한 글도 올렸다.그는 일본 정부가 말로만 항의할 것이 아니라 독도에 시설물을 설치하고 현지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역사와 영토 문제에서 강경했던 다카이치 총재는 아베 신조 전 총리가 재집권한 2012년 이후 자민당 간부, 각료에 자주 기용되면서 관련 발언을 다소 자제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닛케이는 분석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