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일 “베트남의 미국 수입상품에 대해 20%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새로운 무역 합의를 타결했다”고 발표했다.
트럼프는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을 통해 “베트남과의 협상은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이자 장성인 또람(To Lam)과의 직접 통화 후 이루어진 것”이라며 “양국 간 좋은 협력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 세계에 상호관세를 부과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협정 타결은 영국에 이어 베트남이 두번째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처음이다.
이번 합의의 핵심은 베트남이 미국에 수출하는 모든 상품에 대해 20%의 관세를 부과하고, 제3국을 우회한 재수출(Transshipping)에 대해서는 40%의 고율 관세를 적용하는 것이다. 반면 미국은 자국산 제품을 베트남 시장에 ‘전면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게 됐다.
트럼프는 지난 4월 베트남에 대해 46%의 상호관세를 부과했지만, 이번 합의를 통해 베트남의 관세율을 20%로 대폭 낮춘 것이다.
트럼프는 “베트남이 미국에 시장을 완전히 개방하는 것은 전례 없는 조치”라며 “미국 제품이 베트남에 무관세로 수출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SUV, 또는 대형 엔진 차량이라 불리는 제품군은 베트남 내 다양한 상품 라인업에 훌륭한 추가 요소가 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는 최근 ‘상호관세 90일 유예기간’ 만료를 앞두고 일본 등 주요 교역국에 대한 압박을 극대화하고 있다. 일각에서 유예기간 연장 전망이 나오자 트럼프는 연이어 “유예 연장은 없다”, “일본에 30~35% 고율 관세 부과를 할 수 있다”는 등 강경 메시지를 내놓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과도 지난 달 희토류 공급 등 일부 합의가 있었으나 아직 전면적 무역협정으로 공식 발표되지는 않았다.
댓글